Git
-
[Git] 원격 repo와 .gitignoreGit 2023. 6. 7. 01:21
🔶원격 repo 사용하기 우리가 취한 commit은 자동으로 원격 저장소에 반영되지는 않는다. 내 컴퓨터(로컬 저장소)에만 반영되는 것으로 commit내역을 원격 저장소에 보내줘야 한다. = push 사용 이때 주의할 점은 브라우저로 github 사이트에 접속해서 에디터로 수정한 부분과 로컬에서 수정한 부분이 동일한 경우에 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개발을 하다 보면 원격 저장소의 내용을 로컬로 가져와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pull을 사용한다. - push(푸쉬) : 로컬 repo 의 commit 들을 원격 repo 에 반영한다. *commit들을 밀어넣기! - pull(풀): 원격 repo 의 commit 들을 로컬 repo 에 반영한다. *commit들을 땡겨오기 - clone(클론..
-
[Git] Git과 Github, commitGit 2023. 6. 7. 00:43
🔶Gti과 Github? Git: 내 로컬 저장소에 소스 코드를 형상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Github : 로컬이 아닌 원격환경에 소스코드를 저장할 수 있도록 원격 저장소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 구글드라이버 git에서 관리하는 영역은 크게 3가지로 본다. 1. 현재 작업중인 Working Directory 2. commit 할 파일의 예비 저장소, 혹은 추적 대상 파일의 공간인 Staging Area 3. 각유저의 컴퓨터에서 관리되고 있는 로컬 저장소 인텔리제이를 통해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디렉토리에 각종 파일이 생성된다. 프로젝트가 생성된 디렉토리에 git으로 버전관리를 하겠다는 초기화 작업을 해주면 그게 Working Directory가 된다. 우리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